교육 상담/상담이론

Personality Disorders(성격장애)

경오기 2010. 4. 14. 07:43

"성격장애"(DSM-Ⅳ에는 "인격장애"로 표기)란 그 개인이 문화적 기대로부터 심하게 벗어난 지속적인 내적 경험과 행동 양식을 보이는 것으로서 광범위하고, 굳어 있고, 청소년기 또는 성인기 초기에 시작되며,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고 이로 인하여 고통과 장해가 초래 된다.

이러한 성격장애에는

 

1. 편집성(망상성) 인격장애 : 타인의 행동이 악의에 찬 동기를 가지고 있다고 해석하는 등 불신과 의심을 하는 인격장애이다.

2. 분열성 인격장애 : 사회적 관계에서 고립되고 정서 표현이 제한된 인격장애이다.

3. 분열형 인격장애 : 관계가 가까워지면 급성 불안이 일어나고, 인지 또는 지가의 왜고, 그리고 괴이한 행동을 보이는 인격장애이다.

4. 반사회성 인격장애 : 타인의 권리를 무시하고 침범하는 인격장애이다.

5. 경계성 인격장애 : 대인관계, 자아상, 그리고 정동이 불안정하고 심하게 충동적인 인격장애이다.

6. 히스테리성 인격장애 : 과도하게 감정적이고 관심을 끌려는 인격장애이다.

7. 자기애성 인격장애 : 자신에 대한 과대 평가, 칭찬에 대한 욕구, 공감의 결여를 특징으로 하는 인격장애이다.

8. 회피성 인격장애 : 사회활동의 억제, 부적함감, 부정적 평가에 대한 과민성을 특징으로 하는 인격장애이다.

9. 의존성 인격장애 : 보살핌을 받고자 하는 과도한 욕구가 있는, 순종적이고 의존적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인격장애이다.

10. 강박성 인격장애 : 정리정돈, 완벽성, 그리고 통제에 대한 과도한 집착을 특징으로 하는 인격장애이다.

 

 

 

▣ 인격장애의 일반적 진단 기준

 

A 개인이 속한 사회의 문화적 기대에서 심하게 벗어난, 지속적인 내적 경험과 행동 양식이다. 이 양식은 다음 영역 가운데 2개(혹은 그 이상)영역에서 나타난다.

  (1) 인지(예 : 자신과 타인, 그리고 사건을 지각하고 해석하는 방식)

  (2) 정동(예 : 정서 반응의 범위, 강도, 불안정성, 그리고 적절성)

  (3) 대인관계 기능 

  (4) 충동조절

 

B. 고정된 행동 양식이 융통성이 없고 개인 생활과 사회 생활 전반에 넓게 퍼져 있다.

 

C. 고정된 행동 양식이 사회적, 직업적, 그리고 다른 중요한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심각한 고통이나 기능 장해를 초래한다.

 

D. 양식이 변하지 않고 오랜 기간 지속되어 왔으며, 발병 시기는 적어도 청소년기나 성인기 초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E. 고정된 행동 양식을 다른 정신장애의 증상이나 결과로 설명할 수 없다.

 

F. 고정된 행동 양식이 물질(예:남용 약물, 치료 약물 ) 혹은 일반적인 의학적 성태(예:두부 외상)의 직접적 생리적 효과로 인한 것이 아니어야 한다.

 

출처 : DSM-Ⅳ(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4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