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속의불만 -<문명적>성도덕과 현대인의 신경병
- <문명적>성도덕과 현대인의 신경병 -
프로이트는
그의 저서 ' <문명적>성도덕과 현대인의 신경병'에서
현대사회에서 급속히 증대되고있는 신경병도 그 원인을 더듬어 올라가면 문명적 성도덕에 이른다고 한다.
폰 에렌펠스의 '성윤리Sexualethik'에서 논하고 있는 것을 제시하면서 그의 주장들을 펼쳐간다.
폰 에렌펠스는 성도덕을 <자연적>성도덕과 <문명적>성도덕으로 나누고그 차이를 상세히 논하고 있다.
자연적 성도덕은 그 지배를 받는 인간으로 하여금 건강과 생산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성도덕이고,
문명적 성도덕은 거기에 순응하는 인간으로 하여금 강력하고 창조적인 문화 활동에 종사하도록 자극을 하는 성도덕이라고 한다.
.
그는 오늘날 서구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성도덕의 역효과에 대해 <문명적>성도덕의 특징은
남자들의 성생활에 맞추어 여자들에게 이런저런 요구가 가해지고,
일부일처제의 혼인 관계를 떠난 성교는 모두 금지되고 있다는 것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남성과 여성의 태생적 차이를 생각하면 남성의 외도를 좀더 너그럽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으며,
남성 쪽에 유리한 <이중>윤리를 수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프로이트는 폰 에펜펠스가 지적한 문명적 성도덕의 역효과 가운데 한 가지 빠진 것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는데
현대사회에서 급속히 증대되고 있는 '신경병'도 그 원인을 더듬어 올라가면 결국 문명적 성도덕에 이른다는 것이다.
논의한 것에 대한 근거를 위하여 몇명 관찰자
'에르프W.Erb' '빈스방거O.L. Binswanger' 폰 크라프트- 에빙R.von Kraftt-Ebing'의 주장을 근거하여 제시하고 있다.
고등 동물 가운데 성 본능이 가장 강하게 발달한 동물은 아마 인간일 것이라고 한다.
인간의 끊임업슨 성 본능은 문명 화롱에 엄청난 에너지를 공급하는데 인간의 성 본능은 그것을 다른 것으로 바꿀 수 있고,
이처럼 대상이 바뀌어도 그 강도는 사실상 거의 줄어들지 않는 특징을 갖고 있다.
최초의 성적 대상을 다른 것으로 바꿀 수 있는 능력을 <승화>능력이라고 부르느데,
성 본능이 문명에 대해 갖는 중요성은 바로 이 승화 능력에 있다고 한다.
이와는대조적으로 성 본능이 유난히 집요한 고착현상을 보일 수도 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 본능은 원래 생식에 이바지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종류의 쾌감을 얻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아울러 금욕문제를 고찰할 때
'모든 성행동을 자제하는 금욕'과 '이성과의 성교를 자제하는 금욕'을 엄격히 구별하지 않는 것이 보통이나,
금욕에 성공했다고 자랑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유아기의 자기애석 성행동과 연결되어있는 성적 만족이나 자위 행위의 도움으로 금욕할 수 있었을 뿐이므로
이러한 대체 수단은 유아기의 자기애적 성행동과 관련되어 있기때문에 결코 해롭지 않다고는 말할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성생활이 유아기의 형태로 퇴화하면 다양한 종류의 신경증과 정신병에 걸리기 쉽다며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유아는 성기만이 아니라 다른 신체 부위에서도 쾌감 획득의 목적을 달성하고
따라서 이처럼 편리한 대상을제외한 다른 대상들은 무시할 수 있다.
이 단계를 <자기애>단계라고 부르는데 이 단계를 빨리 벗어나지 못하고 꾸물거리면
나중에 그의 성본능은 통제할 수도 없고 쓸모도 없는 것이 되어 버린다.
성본능은 자기애 단계에서 대상애 단계로, 성감대가 자주성을 갖는 단계에서 성기에 종속되는 단계로 발전한다.
이 과정에서 신체가 제공하는 성적 흥분은 생식 기능에 전혀 이바지 하지 못하는 것으로서 금지되고
좀더 바람직한 경우에는 승화로 이어진다.
따라서 문화활동에 이용될 수 있는 에너지는 대부분 성적 흥분의 <도착적>요소를 억제함으로써 얻어진다.
자위행위는 문명적 성도덕의 이상적 요구를 전혀 충족시키지 못하고,
그 결과 금욕을 통해 교육이 지향하는 이상과 충돌하기를 피하고 싶어하는 젊은이들을 똑같은 충돌로 몰아넣는데
그 하나는 자위 행위는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온 힘을 쏟는 대신 손쉽게 이루는 법을 사람들에게 가르친다.
두번째 자위행위는 성적 만족에 따르는 환상속에서는현실에서는 쉽게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뛰어난 장점을 지닌
이상적인 인물이 성적 대상으로 나타난다고 보고 한다.
프로이트가 이 저서를 통해 제기하고자 하는 것은
<문명적>성도덕이 현대의 신경병 확산과 중대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개혁안이 시급히 요청되는 것이 온당하다는 생각에서 라고 주장하고 있다.
프로이트의 '문명속의 불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