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pi 해석 3 (쌍 상승척도)
상승척도 쌍
상승척도 쌍에 포함된 척도들의 점수가 얼마나 높아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여 왔으나 어떤 경우에는 점수는 수준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예컨대 척도 2와 척도 7의 점수가 90이상이든 70이하이든 상관없이 27/72 상승척도 쌍의 해석은 비슷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MPI는 T>70인 경우 MMPI-2는 T>65인 경우)만 상승척도 쌍을 해석한다.
필자(MMPI-2 제4판 JOHN R GRAHAM )는 상승척도 쌍에 포함된 척도들의 T 첨수가 60이상이라면, 정의된 상승척도 쌍을 언제든 해석할 수 있다고 해석한다.
12/21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신체적 불편감이다. 신체증상의 기절적인 원인에 대한 아무런 임상적 증거가 없음에서 불구하고 신체적 질병을 호소한다.
12/21상승척도 쌍을 보이는 사람들은 거식증, 구역질, 구토감 등을 호소할 수 있다. 현기증, 불면증, 쇠약감, 피로감, 피곤함 등을 호소하기도 한다. 자의식이 상당히 강하며 정신과 환자들 중에서 알코올 남용 문제를 보일 수 있다.
억압 및 신체화 방어기제를 지나치게 사용하며, 통찰과 자기이해가 결여되어 있다. 수동 -의존적인 생활방식을 지니고 있어서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려고 하지 않는다.
13/31
다소 미성숙하고 자기중심적, 이기적이고 연극적인 경향이 있다. 사교적이고 외향적임에도 불구하고 애인관계는 깊이가 부족하고 피상적인 경향이 있으며 사람들과의 정서적 교류가 결여되어 있다. 관심을 받고 싶은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사람들에게 분노감과 적대감을 품는다.
14/41,
임상 장면에서 자주 관찰되지 않음. 여성보다 남성에게서 흔함. 학교나 직장에서 동기가 부족하고 뚜렷한 동기가 부족, 삶에 대해 불만족, 비판적, 대인관계에서 요구적이고 불평이 잦으며, 심술궂다는 말을 듣는다.
18/81.
적대감과 공격적인 감정을 품고 있으나 그들에게는 이런 감정을 조절되고 적응적인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 이성과 함께 있을 때 사회적인 부적절감을 더 느낌. 다른 사람들을 믿지 못하고, 남들과 거리를 두고 지니며 고립되고 소외된 느낌을 갖는다. 방황하며, 떠도는 사람을 살거나 직업 경력이 부실한 경우가 흔하다. 흔히 정신분열증 진단이나 불안장애 분열성 성격장애 진단을 받기도 한다. 불행감, 우울감. 둔마된 정서 상태, 자살생각을 한다고 인정하는 경우도 흔하다. 사고의 혼란을 겪기도 하며, 매우 주의 산만하다. 19/91,
극심한 고통과 동요를 경험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겉으로는 외향적, 공격적, 호전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자기 성격의 이런 측면들을 부인하려고 하는 기본적인 수동-의존적인 사람들이다. 상당이 높은 수준의 성취를 이룰 것이라고 기대하나 분명하고 명확한 목표가 결여되어 있어서 높은 수준의 성취가 결여될 때 좌절한다.
23/32,
아무 일도 못할 정도의 심한 불안을 경험하지는 않지만 신경이 날카로워지고 초조, 긴장, 걱정되는 느낌을 보고하며, 흔히 수면곤란을 겪는다. 그들은 슬픔, 불행, 우울, 자살 사고를 지니고 있을 수도 있다. 일상생활에 대한 흥미가 보족하고 잘 참여하지 않으며 신체적 활동이 줄어들며, 대개 소화기계통의 신체적 불편감을 호소하기도 한다.
수동적, 고분고분, 의존적, 감정을 지나치게 통제, 여성에게 더 흔하게 관찰된다. 갑작스러운 심리적 증상 보다는 상당한 시간 동안 효율성이 떨어진 채로 기능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남성보다 여성에게 흔하게 관찰, 자기의 내면을 살피지 않으며 행동에 대한 통찰이 결여되어 있고, 심리적인 설명을 거부한다. 상당한 불편감을 감내하고 난 후에야 변화에 대한 동기를 갖게 한다.
우울진단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24/42,
대개 가족과의 문제나 법적인 문제로 인해 곤란을 겪은 후에야 전문가를 찾아온다. 분노, 적대감, 원한을 품
고 있으며, 사회적인 기준을 경시한다. 그들의 일탈행동에는 알코올 남용이나 약물 남용의 문제가 포함될 수 있다.
자신의 보잘 것 없는 성취로 인해 좌절을 느끼며, 자신에게 어떠한 요구를 하는 것을 몹시 싫어한다. 어떤 곤경에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활력이 넘치고 사교적이고 외향적인 사람으로 보일 수 있다. 그들은 호감이 가는 첫인상을 주지만 다른 사람을 조종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계에서는 타인의 분노를 유발해낸다.
26/62,
의심, 불신, 분노,적대감, 공격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성격적인 문제를 지닌 사람들로 묘사되고 있다. 취약하다. 일부는 자살을 시도하기도 한다.
27/72,
불안하고 초조하고, 긴장된 모습을 드러낸다. 그들은 걱정을 지나치게 많이 하며, 실제 및 가상의 위협에 약화다. 사소한 스트레스에 과도하게 반응하는 편이다. 흔히 강방사고와 강박행동을 보고한다. 세상사 일반에 대해서 지니고 있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비관적이고 희망이 없다고 여긴다. 우유부단하며 마음속에 부적절감, 불안정감, 열등감을 품고 있다.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고분고분하고 수동-의존적이다. 자기주장을 내세우는 것도 매우 힘들어한다.
흔히 불안장애, 우울증, 강박장애, 진단을 받는다.
28/82
불안하고 초조하고 긴장되어 있고, 안달하는 느낌을 보고한다. 수면 곤란, 주의집중 곤란, 혼란된 사고, 망가 등이 특징이다. 자신이 맡은 일을 효율적으로 완수하지 못하고 문제해결의 양상이 독창적이지 못하다. 의존적, 비효율적, 쉽게 화를 내며, 대부분의 시간을 분노를 품고 지내며, 통제를 상실할까 봐 두려워하고, 바람직하지 행동을 부인하려고 시도하며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했던 기간을 기억하지 못하는 인지적 해리증상을 보일 수 도 있다.
29/92,
자기중심적이고 자기도취적인 경향이 있다. 검사를 실시할 당시에는 임상적인 우울증을 겪지 않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우울증을 겪었던 적이 있는 경우가 있다. 높은 성취를추구하지만 좌초하기도 한다.
34/43
만성적이고 강렬한 분노이다. 적대적이고 공격적인 충동을 품고 있으나 이런 부정적인 감정을 적절한 방식으로 표현하지 못한다. 가족에 대한 깊고 만성적인 적대감에서 비롯된다.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기를 원하면서도 남들에게 냉소적이고, 남들을 의심하는 편이다. 거절감에 대한 예민, 비난에 대한 적대감, 내면의 반항 및 성적으로 부적응을 겪을 수 있다. 겉으로는 순응적으로 보이나 반항적이다.
36/63
상당한 수준의 긴장감과 불안감을 보고하며, 두통이나 소화기계통의 신체적 불편감을 호소할 수 있다. 반항적, 비협조적, 함께 어울리기 힘든 사람들이다. 매우 자기중심적이며, 자기도취적이다. 세상에 대해서 지나치게 낙관적이고 순진한 태도를 드러낸다.
38/83 상당한 심리적 동요를 경험하고 있는 상태인 것처럼 보인다. 불안, 초조 긴장되는 느낌을 보고한다. 미성숙하고, 의존적이며, 관심과 애정을 받고 싶은 욕구가 강하다. 사고장애 기능성을 시사하는데 3과 8 두 척도 모두가 매우 상승했을 대 그러하다.
46/64
미성숙하고 자기도취적이고, 제멋대로 행동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관심과 동정을 지나치게 요구하면서도 남들이 자신에게 사소한 것이라도 요구할 때는 몹시 싫어하는 수동 - 의존적인 사람들이다. 신경이 예민하고 우유부단하고, 불안정하다. 이성과 있을 때 불편하다.
47/74
자신의 행동이 초래할 결과에 무관심하고 신경을 쓰지 않는 기간과 그 행동이 남들에게 미칠 영향을 지나치게 걱정하는 기간을 번갈아 보일 수 있다. 방종과 죄책감 비난이 왔다갔다 한다. 종종 수동공격성 성격장애진단이 내려진다.
48/84
주어진 환경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들은 권위자에게 동조하지 않고 적개심을 보이지 않으며, 종교적으로 정치적으로 급진적인 견해를 지니기도 하다. 그들은 쉽게 화를 내고, 분노를 표현하며, 비사회적 혹은 반사회적 방식으로 행동한다. 쉽게 화를 내고 분노를 표현하며, 비사회적 혹은 반사회적 방식으로 행동한다. 매춘 성적인 방종, 성적인 일탈행동을 보이는 경우도 꽤 흔하다. 깊은 불안정감을 지니고 있으며, 관심과 애정을 받으려는 욕구가 상당히 크다. 성격장애진단이 내려질 가능성이 높다.
49/94
사회적인 기준이나 가치를 매우 엄하게 무시하는 것. 자기도취적, 이기적, 제멋대로 방종한 행동, 충동적, 충동의 만족을 지연시킨다. 중독, 폭행, 편집성이나 양극성진단이 내려질 가능성이 높다.
68/86
강한 열등감과 불안정감을 품고 있다. 자신감과 자존감이 부족하며, 실패라고 생각되는 것에 대해서 죄책감에 대해서 느낀다.
69/96
다소 의존적이며 사랑을 받으려는 욕구가 강하다. 눈물을 자주 흘리며 떨고 있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감정을 적응적이고 조절된 방식으로 표현하지 못하며, 감정을 지나치게 통제하는 모습과 감정을 직접적이고 통제되지 않은 방식으로 폭발시키는 모습을 번갈아 보이기도 한다. 69/96 상승척도 쌍을 보이는 그들은 주의집중의 곤란을 호소하며, 사고의 흐름이 지체되기도 한다. 생각이 너무 많으며, 강박적이다. 망상과 환각을 보이기도 하며, 두서가 없고 지리멸렬한 방식으로 이야기한다.
78/87
전형적으로 상당히 혼란스러운 정서적 동요 상태에 처해 있다. 자신에게 심리적인 문제가 있다는 점을 쉽게 인정하며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방어를 구사하지 못하는 것처럼 보인다. 우울하고 비관적인 느낌을 보고하며, 자살 사고를 경함하기도 한다. 만성적인 불안정감, 부적절감, 열등감을 품고 있으며 우유부단한 편이다. 사회적 장면에서 침착하지 못하고 자신감 없는 모습을 보이며, 사회적인 관계로부터 위축되고 고립되어 있다. 분열성성격장애진단이 내려질 활률이 높다.
89/98
다소 자기중심적이고 유아적인 기대를 한다. 자신에게 많은 관심을 보여 줄 것을 요구하며, 이런 요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화를 내면서 적대적으로 행동한다. 과잉 활동적이고 정서적으로 불안정하다. 성취욕구가 강하고 성취에 대한 압박감을 느끼지만 실제 수행은 기껏해야 평범한 수준이 경우가 많다.
세 개의 척도로 이루어진 상승척도 쌍
세 개의 척도로 이루어진 상승척도 쌍은 그 세 개의 임상척도가 프로파일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척도들임을 의미한다. 여기서 소개하고 있는 세 개의 척도로 이루어진 상승척도 쌍들은 다양한 임상 장면에서 빈번하게 관찰되는 것들이며 관련된 연구 자료를 어느 정도 얻을 수 있는 것들이다.
☀ 특정한 상승척도 쌍에 대한 모든 설명들이 그런 상승척도 쌍을 보이는 모든 사람들에게 반드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123/213/231
일반적으로 신체형장애, 불안장애, 우울증의 진단을 받는다. 흔히 우울증상을 드러내며, 수면곤란, 당혹감, 낙심, 무망감, 비관주의 등의 징후를 보인다. 의존성과 자기주장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 것처럼 보이며, 흔히 다른 사람들과 정서적으로 거리를 두며 지낸다. 피로감을 느끼며, 활력 수준이 낮다.
132/312
이 상승척도 쌍에서는 척도 1과 3의 점수가 척도 2보다 유의미하게 높은데, 이를 가리켜 신체형 ‘전환v'라고 부른다. 고전적인 전환증상을 드러낼 수 있으며, 흔히 전환장애, 신체형장애, 통증장애의 진단을 받는다. 부인과 억압 방어기제를 지나치게 구사하며, 증상의 원인에 대한 통찰이 결여되어 있고, 자신들의 문제를 심리적인 요인으로 설명하는 것에 저항한다. 다소 사교적이기는 하지만 수동-의존적인 편이다.
138
흔히 편집형 정신분열증이나 편집성 성격장애 진단을 받는다. 우울 삽화, 자살사고, 성적 혹은 종교적인 생각에 집착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흥분을 잘하며, 시끄럽고 화를 잘 낸다. 대부분의 시간을 안절부절 못하고 지겨워하면서 보낸다.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에 대해서 양각적인 태도를 보이며 흔히 남을 의심하거나 질투하는 경향이 있다.
139
기질성 뇌 증후군 의심해볼 수있다.
247/274/472
흔히 수동-공격성 성격장애 진단을 받는다. 알코올이나 약물을 남용하는 환자들에게서 제일 흔하게 관찰되는 것이다. 가족문제나 부부분제를 겪는 사람들이 많다. 우울하고 비관적인 기분을 느끼며, 자살사고, 강박사고 강박행동을 경험하기도 한다. 스트레스에 과도하게 반응하며, 충동을 통제하지 못한다. 분노감과 적대감을 지니고 있으며, 미성숙하다. 타인의 관심과 지지를 받고 싶은 충족되지 못한 강한 욕구가 있으며, 자신이 부당한 대접을 받고 싶다고 느낀다. 강한 성취 욕구를 지니고 있지만 실패할까 봐 두려워서 경쟁하는 것을 겁낸다.
278/728
심각한 정서적 혼란을 경험하고 있으며 다소 분열적인 생활방식을 지니고 있다. 긴장되어 있고, 초조해하고, 두려워하며, 주의집중 곤란을 보인다. 슬프고 우울한 기분을 느끼며, 미래에 대해서 낙담하고 비관적이고 희망이 없게 여기고, 흔히 자살에 대한 생각을 곰곰이 반추한다. 신체적 불편감을 호소할 수 있으며, 여성의 경우 흔히 섭식장애를 보고하기도 한다. 기본적인 사회적 기술이 결여되어 있고 수줍음이 많고 위축되어 있고, 내향적이고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다.
687/867
척도 6과 8의 점수가 척도 7보다 훨씬 더 높은데 이를 가리켜 ‘정신증적v'리고 부른다. 이런 상승척도 쌍을 보이는 사람들에 가장 흔하게 내려지는 진단은 편집형 정신분열증이다. 일반적으로 환각, 망상, 극도의 의심성을 드러낸다 수줍음이 많고, 내향적이고 사회적으로 위축된 사람들이지만 술을 마시면 매우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둔마된 정서.
468
급성의 심리적인 불안
정신과 입원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 척도 1과 3의 T 점수가 척도 2보다 10점 이상 높은 사람들은 부인과 억압 방어기제를 지나치게 구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들은 자신의 욕구, 갈등, 증상에 대한 통찰이 거의 혹은 전혀 없다. 척도 2의 T 점수가 척도 1과 3의 점수와 같거나 혹은 높은 사람들은 방어를 그리 잘하지 못한 것처럼 보이며 정서적 동요 및 다양한 증상을 보고할 수 있다.
척도 4의 T 점수가 척도 3보다 10점 이상 높은 사람의 경우 분노, 통제의 문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