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자폐

자폐성 장애의 진단 기준

경오기 2012. 5. 25. 11:32

자폐증은 세 살 전의 초기 아동기에 시작되는 광범위성 발달장애이다.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심각한 장애를 보이며 대단히 제한되고 반복적이거나 상동증적 행동패턴이 특징이다.

또한 자페 아동은 중간 정도의 정신지체 역시 수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자폐아동의 특징은

동일성(sameness)에 대한 강렬한 욕구를 가지고 있어서 의례적인 행동을 한다.

이를테면 일정한 순서와 일정한 방식으로 행동한다.

강박관념(obsessions)이나 기괴함이 있어서 특정 사물에 강한 집착을 보인다.

이들은 또 자기자극적 행동에 몰두한다.

 

그러나 이들은 극단적 결함들에 비해 매우 탁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또다른 영역을 가지고 있다.

 

 

자폐성 장애의 진단 기준 DSM-IV -TM-

 

A. (1),(2),(3)에서 총 6개(또는 그 이상) 항목, 적어도 (1)에서 2개 항목, (2)와 (3)에서 각각 1개 항목이 충족되어야 한다.

  (1) 사회적 상호 작용에서의 질적인 장애가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2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a) 사회적 상호작용을 조절하기 위한 눈 마주치기, 얼굴 표정, 몸 자세, 몸짓과 같은 다양한 비언어적 행동을 사용함에 있어서 현저한 장해

   (b) 발달 수준에 적합한 친구 관계 발달의 실패

   (c) 자발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기쁨, 관심, 성공을 나누지 못한다. (예:관심의 대상을 보여 주거나 가져오거나, 지적하지 못함)

   (d) 사회적으로나 감정적으로 서로 반응을 주고 받는 상호 교류의 결여

 (2) 질적인 의사소통 장해는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1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a) 구두, 언어 발달의 지연 또는 완전한 발달 결여(몸짓이나 흉내내기와 같은 의사소통의 다른 방법에 의한 보상 시도가 수반되지 않는다.

  (b) 적절하게 말을 하는 경우, 다른 사람과 대화를 시작하거나 지속하는 능력의 현저한 장해

  (c) 상동증적이고 반복적인 언어나 괴상한 언어의 사용

  (d) 발달 수준에 적합한, 자발적이고 다양한 가상적 놀이나 사회적 모방 놀이의 결여

 (3) 제한적이고 반복적이며 상동증적인 행동이나 관심, 활동이 다음 항목들 가운데 적어도 1개 항목으로 표현된다.

   (a) 강도나 초점에 있어서 비정상적인, 한 가지 이상의 상동증적이고 제한적인 관심에 집착

   (b) 특이하고 비효율적인, 틀에 박힌 일이나 의식에 고집스럽게 매달림

   (c) 상동증적이고 반복적인 동작성 매너리즘(예:손이나 손가락으로 딱딱 때리기나 틀기, 복잡한 몸 전체 움직임)

   (d) 대상의 부분에 지속적으로 몰두

 

B. 다음 영역 가운데 적어도 한 가지 영역에서 기능이 지연되거나 비정상적이며, 3세이전에 시작된다.

  (1) 사회적 상호작용

  (2) 사회적인 의사소통에서 사용되는 언어

  (3) 상징적 또는 상상적 놀이

 

C. 장해가 레트 장해 또는 소아기 붕괴성 장애로 잘 설명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