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심리검사

mmpi 해석 5

경오기 2011. 6. 8. 23:59

MMPI-2의 보충척도

높은 점수의 의미

A=Anxiety

부적응, 불안, 우울, 자살 생각 인정, 비관, 억제, 방어적, 합리화 조심스러움. 남자라면 연약해 보이는 경향이 있는 행동. 냉정하고 거리감을 유지하며 무관심해 보인다.

정상인 집단에서 A 척도가 높은 사람들은 다소 슬프고 불행해한다. 정신과 장면에서 A 척도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신경증적이고 부정적이고 복종적이고 다른 사람들에게 쉽게 휘둘리며 이전에 심리치료를 받은 과거력이 있는 것 같다.

R=Repression(억압)

수동적, 복종적, 관습적, 의례적, 공들여 일함. 정신운동지체 보일 수 있음.

신중하고 조심스러운 생활양식을 택하는 사람들로, 내향적이고 내현화하는 사람들이다.

Es=Ego Strength(자아강도)

자아강도 척도는 개인 심리치료를 받는 신경증 환자들의 반응을 예측하기 위해 개발하였다.

만성적인 정신병리가 덜하다. 안정적이고 신뢰가 가며 책임감. 참을성, 편견이 없다. 감각 추구자, 단호하고 인내력. 자신감, 거리낌 없이 말하며 사교적. 지적이고 자원이 풍부하며 독립적. 안정된 현실감. 호감 가는 첫인상. 타인의 수용. 활력이 넘치고 흥미가 많음. 권위에 적대적이고 저항적. 경쟁적, 일 중심. 빈정거리며, 냉소적. 주변에서 일어난 일에 도움을 구함. 심리치료에서 직면을 이겨낼 수 있다.

정서적으로 잘 균현 잡혀 있는 것 같다. 정신과 장면이 아닌 경우 심각한 정서 문제가 있는 것 같지 않다. 정서 문제를 지닌 사람들 중 Es 척도 점수가 높은 사람들의 경우 문제가 만성적이라기보다는 상황적인 면이 있고, 개인이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심리적 자원을 가지고 있으며 상담이나 심리치료에서의 긍정적 변화에 대한 예후가 좋다는 점이 시사된다.

낮은 Es 척도 점수의 해석

스트레스에 대처할 만한 심리적 자원을 가지지 못한 듯하며 치료적인 변화에 대한 예후가 좋지 않다.

Do=Dominance(지배성)

정치 참여와 관련된 대규모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Do척도를 개발하였다.

침착, 확신, 안정감, 자신감, 솔직하게 행동하는 게 마음 편함, 낙천적, 현실에 맞서려는 욕구 강함.

일상에서의 문제나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확신하는 사람들이다 Do 척도 점수가 높은 정신과 환자들은 불안, 우울 및 신체증상 호소 등의 증상 수가 적은 편이다.

Re=Social Responsibility(사회적 책임감)

정치참여에 관한 대규모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

윤리적 도덕적인 문제에 대해 깊은 관심. 정의감. 특권 및 청탁 거부. 사회적인 장면에서 편안해한다. 세상에 대한 신뢰 및 자신감.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잘 받아들이고 이들 가치에 부응하는 방식으로 행동한다. 정신과 환자 중 Re 척도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불안, 우울 및 신체증상 호소를 포함한 증상 수가 적다고 한다.

Mt-College Maladjustment(대학생활 부적응)

대학생들의 정서적 정응 및 부적응을 구별해 내기 위해 구성되었다.

무능, 비관, 매사에 늦장. 불안하고 걱정이 많음. 인생살이가 힘들다고 느끼는 경우가 대부분.

Pk=Post-Traumatic Stress Disorder(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강한 정서적 고통감, 불안 및 수면장애 증상, 죄책감과 우울감, 원하지 않은 혼란스러운 생각들, 감정 및 인지적 통제력을 잃어버릴까봐 두려워함. 제대로 이해받지 못하며 학대받고 있다고 느낌.

MDS=Marital Distress(결혼생활 부적응) T>60 결혼생활 부적응 문제 시사.

부부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관계일치도, 결속력, 애정 및 만족도를 측정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부정응적. 우울을 경험하고 있을 수 있다. 거의 대부분 실패했다고 느낄 수 있다. 화가 나 있다.

Ho=Hostility(적대감)

학급 내에서 선생님과 학생 사이의 라포를 예측하기 위해 개발한 척도 중 하나이다.

냉소적이고 의심이 많으며 잘 믿지 못함. 화가 많이 나는데, 특히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그렇다. 우호적이지 않아 보인다. 적대감을 다른 사람 탓으로 돌린다. 자기 개념이 빈약, 심각한 건강상 문제가 있을 위험이 크다. 심리적으로 잘 적응하지 못하다.

O-H=Overcontrolled-Hostility(적대감 과잉통제)

과잉통제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은 화가 날 때 당연한 공격 반응조차도 보이지 않지만 때때로 너무 화가 날 때는 극단적인 공격적 형태로 행동화하기도 한다.

보복을 하지 않는다. 화난 감정을 표현하지 않는 경향, 사회성이 있고 책임감, 다른 사람보다 뛰어나고 싶은 욕구 강함. 다른 사람에게 의존적. 믿음직스럽다. 충분한 돌봄을 받으며 지지적인 가족 분위기에서 성장했다고 기술. 정신과 입원환자의 경우 과대망상적이지만 협조적일 수 있다.

낮은 O-H 척도 점수의 해석T<65 는 의미 없음을 지적. 점수가 낮은 사람들은 만성적으로 공격적인 사람들이거나 아주 적절하게 공격성을 표현하는 사람들일 수 있다.

MAC-R=MacAndrew Alcoholism-Revised (MacAndrew의 알코올 중독)

정신과 환자 중 알코올 중독자와 알코올중독이 아닌 환자들을 변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사회적으로 외향적, 과시적, 자신감이 있고 자기 주장적, 술을 마신 뒤 필름이 끊긴 경험이 있을 수 있다. 경쟁과 위험을 즐긴다. 정신을 집중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학교 장면에서 말썽을 부리거나 혹은 법적인 문제를 일으킨 과거력이 있다. 공격적이다. 정신과적 환자라면, 다른 환자들보다 자살시도 경함이 많을 수 있다.

AAS=Addiction Potential(중독인정)

물질남용과 관련된 명백한 내용을 포함하는 문항들을 사용하여 중동인정 척도를 개발하였다. (예: 나는 술이나 마약으로 인한 문제가 있다. 술에 취했을 때만 솔직해질 수 있다)

정신건강 관련 혹은 법적 장면에서 물질남용이나 물질의존으로 진단받을 수 있다. 행동화의 과거력, 충동적, 위험을 즐김, 판단력이 좋지 않다. 비판적이고 논쟁적이다. 가족 내 문제가 았다. 쉽게 동요하고 기분 변화가 잦다.

APS=Addiction Potentiala(중독가능성)

-MMPI-2 점수만으로 물질남용이라고 결론짓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임상가들은 APS 점수가 T>60 물질남용 가능성에 관한 추가 정보를 탐색해 보아야 한다.

GM/GF=Masculine Gender Role/Feminine Gender Role(남성적 성역할)/(여성적 성역할)

남녀 모두 GM척도 점수가 높은 경우 이 척도 점수가 낮은 사람들보다 더 잘 적응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심리적 적응에 대해서는 GM과 GF 척도를 관례적으로 사용하기를 권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이들 척도는 연구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실험적 척도로 고려되어야만 한다. 














'심리 > 심리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준화 성격 검사  (0) 2011.08.31
웩슬러 지능검사 1  (0) 2011.06.09
mmpi 해석 4  (0) 2011.06.08
mmpi 해석 3 (쌍 상승척도)  (0) 2011.06.08
mmpi 해석 2  (0) 2011.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