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ct 평점 기록지 ssct 평점 기록지 내담자 이름: 성별: 나이: 날 짜: 시간: ※ 부적절한 반응이나 갈등 등의 요소를 고려하고 검사자의 판단에 근거하여, 다음 척도에 따라 아래의 범주들에 대해서 평점한다. 2. 심한손상→이 영역의 정서적 갈등을 다루기 위해 치료적 도움이 필요하다고 보임 1. 경미한 손상.. 심리/심리검사 2012.07.09
표준화 성격 검사 표준화 성격 검사 1. 검사의 성격 본 검사는 우리나라에서 표준화되어 있는 여러 가지 성격검사와 아울러 미국, 영국, 일본 등에서 실시하고 있는 성격측정도구로서의 인벤토리(inventory) 형의 겸사를 광범위하게 참고하여 제작 표준화된 검사이다. 본 검사는 주로 필답식 집단검사로 실시하며 수검자는.. 심리/심리검사 2011.08.31
mmpi 해석 5 MMPI-2의 보충척도 높은 점수의 의미 A=Anxiety 부적응, 불안, 우울, 자살 생각 인정, 비관, 억제, 방어적, 합리화 조심스러움. 남자라면 연약해 보이는 경향이 있는 행동. 냉정하고 거리감을 유지하며 무관심해 보인다. 정상인 집단에서 A 척도가 높은 사람들은 다소 슬프고 불행해한다. 정신과 장면에서 A .. 심리/심리검사 2011.06.08
mmpi 해석 4 MMPI-2 재구성 임상 척도의 개발 Tellegen 등(2003)의 논문에서 재구성 임상척도를 개발하고 척도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전반적으로 어떤 접근을 취했는가를 설명하고 있다. 재구성 임상척도(RC) 구성의 첫 번째 단계로,의기소침척도(demoralization:RCd)라고 명명된 일반척도를 개발하였다. 재구성 임상척도(RC)구.. 심리/심리검사 2011.06.08
mmpi 해석 3 (쌍 상승척도) 상승척도 쌍 상승척도 쌍에 포함된 척도들의 점수가 얼마나 높아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이견을 보여 왔으나 어떤 경우에는 점수는 수준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 예컨대 척도 2와 척도 7의 점수가 90이상이든 70이하이든 상관없이 27/72 상승척도 쌍의 해석은 비슷할 수 있다. 일반적.. 심리/심리검사 2011.06.08
mmpi 해석 2 - 임상척도 점수의 해석 - 척도 1:건강염려증(Hypochondriasis,Hs) 척도 1은 원래 건강염려증과 관련된 증상패턴을 보이는 환자들을 가려내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건강염려증이란 신체적 건강에 대해 집착하면서 질병에 대한 공포를 느끼는 임상적 상태를 말한다. 척도 1 점수가 높은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 심리/심리검사 2011.06.08
mmpi 해석 1 3. 해석 MMPI의 해석 시 가장 유의해야 할 점은 다른 모든 검사의 경우도 그러하지만 면담이나 다른 정보 없이 MMPI 하나만으로 ‘무정보 해석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MMPI는 피검자에 대한 가설을 제공하는 것이지 피검자에 대한 확실하고 완전한 특성 파악이나 구체적인 행동을 예언하는 것이 아니.. 심리/심리검사 2011.06.08
MMTIC 이야기 MMTIC 검사에서 통계상 가장 많은 유형은 ESFP 와 ENFP 유형이라고 한다. 초등학교 중학교 몇 반을 검사를 해 본 결과 ESFP 와 ENFP 유형이 반의 2/3 를 차지하였다. 어떤 반에서는 유형별로 세 가지 소원과 20년 후의 자신의 모습을 적어보라고 하였다. - 초등 6년생들의 답변을 골라 보았다. ENFP 유형 1. 카이스.. 심리/심리검사 2011.05.14